| 학회·학술
  • 목록
  • 재생불량성빈혈, 타인간 세포이식도 혈연과 비슷
  • 장기생존율 88%, 혈연간 조혈모세포이식과 동등한 수준 인상연구
  • [메디컬투데이 허지혜 기자] 난치성 질환인 중증 재생불량성빈혈 환자에서 타인간 동종 조혈모세포이식의 5년 이상 장기생존율을 혈연간 조혈모세포이식과 동일한 수준으로 높이는 임상연구결과가 나왔다.

    타인간 조혈모세포이식의 장기생존율은 40~60%로 혈연간 조혈모세포이식의 80~90%에 절반에 불가해 치료에 어려움이 있었다.

    26일 가톨릭대학교 서울성모병원 조혈모세포이식센터 이종욱·조병식 교수팀은 중증 재생불량성빈혈 환자의 비혈연간 동종 조혈모세포이식 전 방사선치료 및 면역억제제의 독자적인 이식전 처치기법을 이용해 장기생존율을 88%로 높였다고 발표했다.

    이 연구결과는 미국 조혈모세포이식학회의 공식 학술지이자 골수이식 분야의 세계 최고 권위 저널인‘미국 골수이식학회지(Biology of Blood and Marrow Transplantation)’2011년 1월호에 게재됐다.

    중증 재생불량성빈혈 환자는 혈연간에 조직적합성항원이 일치 시 조혈모세포이식으로 대부분 치료하며 혈연이 아니더라도 조직적합성항원이 맞는 경우 비혈열간 동종 조혈모세포이식을 실시한다.

    그러나 비혈열간 동종 조혈모세포이식은 이식 후 거부반응 및 합병증 등으로 장기생존율이 40~60%로 저조해 면역치료 후 실패하는 경우에 실시했다.

    이종욱 교수팀은 2001년 4월부터 2009년 4월까지 1차 면역치료에 실패한 중증 재생불량성빈혈 환자 50명을 대상으로 새로운 전처치기법을 이용하여 비혈연간 동종 조혈모세포이식을 시행했다.

    이 교수팀이 개발한 전처치기법은 전신방사선조사와 싸이클로포스파마이드를 이용해 조혈모세포이식 전에 실시한다.

    그 결과 88%에서 거부반응 없이 5년 이상의 장기생존율을 보였다.

    특히 환자군의 대부분이 이식 성적에 불량한 인자인 중증 재생불량성빈혈 진단 후 3년 이상 지나 이식을 시행 받았으며 이식 전 수혈양이 평균 64 units로 많았던 것을 고려하면 굉장히 고무적인 결과다.

    이번 연구는 중증 재생불량성빈혈 환자에서 타인간의 동종 조혈모세포이식을 실시해도 형제간 조혈모세포이식과도 같은 우수한 성적을 거둘 수 있다는 것을 제시한 것이다.

    이종욱 교수는 “이번 연구결과는 조직적합성항원이 일치하는 형제가 없는 경우 타인간 동종 조혈모세포이식을 받고자 하는 재생불량성빈혈 환자에게 큰 희망을 줄 수 있을 만한 우수한 성적이다”고 강조했다.

    특히 이 교수는 “환자와 조직적합성항원이 일치하는 비혈연간 공여자가 있는 경우 새롭게 개발된 전처치 기법을 통해 조기에 이식을 한다면 더욱 많은 환자들이 완치될 수 있을 것이다”고 전망했다.

    한편 재생불량성빈혈은 혈액을 만드는 골수 속의 조혈모세포가 부족해서 혈액이 제대로 만들어지지 않는 난치성 혈액질환이다.

    국내 재생불량성 빈혈의 유병률은 인구 100만명당 5.1명으로 유럽의 2명보다 2~3배 이상 높다.

    중증 재생불량성빈혈 환자는 혈연간 동종 조혈모세포이식을 통해 치료하지만 형제간에 조혈모세포의 조직적합성항원이 일치할 확률은 25~30%다.

    타인간 조혈모세포이식은 1996년 국내 처음으로 시행된 이래 급성골수성백혈병, 급성림프구성백혈병, 만성골수성백혈병, 중증재생불량성빈혈, 골수이형성증 등 난치성 혈액질환 치료에 활발하게 이뤄지고 있다.
      메디컬투데이 허지혜 기자 (jihe9378@mdtoday.co.kr)

    관련기사
      ▶ 안과의사회, 백내장 수술 기각 판결에 항소 결정
      ▶ 건보공단, 하지정맥류·맘모톰 시술 입퇴원 집중조사
      ▶ 한의협 “대통령 한방주치의 임명 환영”
      ▶ NMC감염병센터, 재난형 신종 감염질환 집중관리

    <건강이 보이는 대한민국 대표 의료, 건강 신문 ⓒ 메디컬투데이(www.mdtoday.co.kr),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>


    뉴스검색제공제외
당번약국찾기
병원예약하기
건강상담하기
질병정보찾기