| 흡연·음주
  • 목록
  • 흡연자, 비흡연자에 비해 폐기종 발생 '10배 이상 ↑'
  • 건강한 흡연자 4명중 1명 폐기종 보유
  • [메디컬투데이 허지혜 기자]
    건강한 흡연자의 4명 중 1명이 폐기종을 가진 것으로 나타났다.

    가톨릭대학교 서울성모병원 김영균·심윤수 교수팀은 21일 2008년 10월부터 2009년 6월까지 평생건강증진센터에서 폐기능검사와 저선량흉부 CT를 시행한 274명을 추적 조사해 발표했다.

    그 결과 정상폐기능을 가진 건강한 흡연자의 25.6%인 49명에서 폐기종이 발견됐다. 비흡연자의 2.4%인 2명에서 폐기종이 발견된 것 보다 약 10배 이상 높았다.

    폐기종은 폐포와 이곳에 공기가 통하게 하는 작은세기관지가 늘어나 탄력이 없어진 고무풍선처럼 늘어져 제 기능을 못하게 된 상태를 말한다. 결국 폐기능이 저하되어 산소와 이산화탄소를 원활하게 바꾸어주지 못해 기침 및 가래, 호흡곤란이 생긴다.

    연구팀은 흡연과 폐기종에 따른 폐기능의 변화를 확인하기 위해 흡연군과 금연군의 폐기종 유무로 나눠 2년간 FEV1/FVC(1초간 강제호기량/강제폐활량 비율), FEF 25~75%(강제호기유량)을 비교했다.

    그 결과 폐기종 있는 흡연군의 경우 FEV1/FVC가 84%에서 80%로 FEF 25~75%는 96%에서 90%로 감소했다.

    폐기종이 없는 흡연군도 FEV1/FVC는 84%에서 81%로 FEF 25~75%는 97%에서 91%로 감소해 폐기종과 흡연 모두 폐기능을 감소시키는 것을 확인했다.

    반면 폐기종이 없는 금연군의 FEV1/FVC와 FEF 25~75%는 첫 측정결과와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. 하지만 폐기종이 있는 금연군의 FEV1/FVC는 81%에서 76%로 FEF 25~75%는 91%에서 83%로 감소했다.

    또한 FEF 25~75%의 1년간 감소율을 예측한 결과 폐기종이 있는 흡연군은 4.4% 폐기종이 있는 금연군은 4.2%로 폐기종이 없는 흡연군은 1.1%로 나타났다.

    즉 폐기종이 있는 흡연자는 금연한 후에도 폐기종이 없는 흡연자의 비해 폐기능의 악화가 진행된 것이다.

    또한 비흡연자에 비해 흡연자의 혈액내 호산구 분획률과 백혈구수, 고감도 C 반응성 단백질이 증가되어 있어 전신적인 만성 염증상태를 보였다.

    성모병원 호흡기내과 김영균 교수는 “이번 연구는 건강한 흡연자를 대상으로 한 연구로 흡연과 폐기종의 발생빈도 폐기종에 따른 폐기능 감소를 확인한 연구결과다”고 밝혔다.

    특히 김 교수는 “폐기능 악화 예방을 위해서는 무엇보다 금연이 매우 중요하며 폐기종이 있는 흡연자의 경우 지속적인 관찰이 필요하다”고 강조했다.

    이번 연구는 대한결핵 및 호흡기학회에서 발간하는 학회지에 지난 2010년 9월에 게재됐다.
      메디컬투데이 허지혜 기자 (jihe9378@mdtoday.co.kr)

    관련기사
      ▶ ‘세무검증제’ 재추진 의지, 의협 대응은(?)
      ▶ 시도병원회장협의회, "의사 못구하는 지방병원 살려야"
      ▶ 약국 100원짜리 처방을 환자에겐 30원에…16억 불법착복
      ▶ 한약제제 개발 등 29억7400만원 신규 연구과제 지원

    <건강이 보이는 대한민국 대표 의료, 건강 신문 ⓒ 메디컬투데이(www.mdtoday.co.kr),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>


    뉴스검색제공제외
당번약국찾기
병원예약하기
건강상담하기
질병정보찾기